[DAY 36] 효과 크기, 대응표본 t-검정, 분산 분석, 카이제곱 검정, 맥니마 검정
신뢰구간, 귀무가설, 유의수준, p-value 등 통계적 가설 검정에 대한 문제를 풀었다. 이후 집단 비교에 대해 학습하며 효과 크기, 여러 검정 방법을 익혔다. 검정력(power) 유의수준(α) : 귀무가설이 참일 때 기각하는 1종 오류의 확률 β : 귀무가설이 거짓일 때, 기각하지 못하는 2종 오류의 확률 검정력(1-β) : 귀무가설이 거짓일 때, 이를 올바르게 기각할 확률 - 보통 검정력은 0.8 이상을 요구 - 표본의 크기가 크면 증가 - 분석 결과에 나오는 검정력은 모수가 통계량과 같다는 가정 아래 계산된다. 맨-휘트니 U 검정(Mann-Whitney U test) 독립표본 t 검정에 대응하는 비모수 검정 방법 귀무가설 : 두 집단의 모집단은 같다. 윌콕슨 순위합 검정(Wilcoxon rank-..
2023. 2. 15.